25.3.26 취재

안녕하세요 청송 온통청송 홍보단 서지현입니다.

오늘은 청송읍에 위치한

조선시대 사찰 보광사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보광사로 가는 길은 울창한 나무들이 펼쳐져 있고,

거북이 묘가 입구 앞에 세워져 있습니다.

보광사 입구에는 주차공간이 있어

자차를 이용해서 방문하기에도 편리합니다.

보광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소속 사찰로,

조선시대에 건립되었습니다.

조선시대 동안 청송심씨 시조묘 수호와 관련하여 운영되었고,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의 말사입니다.

또, 다른 이야기는 신라 문무왕 때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도

전해져 오지만 정확한 근거자료는 없다고 합니다.

보광사의 입구 역할을 하는 만세루는

조선 세종이 부사 하담에게 명하여 건립한

청송 심씨의 시조 심흥부의 묘재각입니다.

그리고 극락전 앞 중앙 돌계단에 세워져 있는

보광사 삼층석탑은 높이 162cm, 3층 규모에

1층은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2,3층은 급격한 경사를

이루는 형태로 되어 있는데, 이 양식으로 보아

고려시대 건립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보본당과 요사채, 산신각 등의 전체적인

건물 양식으로 보아 청송 보광사는 조선 후기의 일반적인

건축양식을 따르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요사채와 극락전 사이에는 산신을 모시는 전각인 산신각과

칠성을 모시는 칠성각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안에는 화재예방을 위한 전기초가 배치되어 있으니

절대로 불을 붙이시면 안됩니다.

청송 가볼만한곳 보광사의 중앙에는

극락전이 자리하고 있는데, 조선 세종 11년에

처음 건립된 것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보수공사 중 1615년 12월 1일자의 상량문이 발견되어

1615년 건축으로 확인되었습니다.

건물의 규모는 작지만 조선중기 건축양식을 잘 간직하고 있어

충분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건물이기도 합니다.

청송 가볼만한곳 극락전의

내부에는 작은 불상과 범종도 만나볼 수 있었습니다.

오늘은 조선후기 건축양식을 다수 확인할 수 있는

청송 보광사를 소개해 드렸습니다.

조용히 사색에 잠기기 좋은 보광사를 방문하셔서

조선후기 건축양식도 만나보고

가볍게 한바퀴 둘러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취재일자:3.16


{"title":"조선 후기의 건축 양식 사찰 청송 보광사","source":"https://blog.naver.com/gocheongsong/223867330556","blogName":"산소카페 ..","domainIdOrBlogId":"gocheongsong","nicknameOrBlogId":"청송군","logNo":223867330556,"smartEditorVersion":4,"outsideDisplay":true,"lineDisplay":true,"meDisplay":true,"blogDisplay":true,"caf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