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전
울주군 아이와 함께 가볼 만한 곳 충렬공박제상기념관
운영시간
09:00 ~ 18:00
입장료
무료입장
휴관일
매주 월요일 (월요일이 공휴일일 경우 화요일 휴무, 설날, 추석 당일)
충렬공 박제상 기념관 외부
울주군 아이와 함께 가볼 만한 곳으로 충렬공 박제상 기념관을 다녀왔습니다.
충렬공 박제상에 대해 알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아이들과 함께 다녀오기 좋은데요.
입장료도 무료라는 점이 가장 메리트가 큰 곳이기도 합니다.
신라시대의 충렬공 박제상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질 수 있으니 충렬공 박제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충렬공 박제상 기념관은 울산 울주군 두동면 박제상로 200 충렬공박제상기념관의 위치에 있습니다.
넓지는 않지만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앞에는 해설사의 집이 있습니다.
충렬공 박제상 기념관과 더불어 그 옆 치산 서원도 함께 있습니다.
충렬공 박제상 기념관은 반려동물은 출입이 금지되어 있으며 6세 이하의 어린이는 보호자와 동반해야 이용이 가능합니다.
충렬공 박제상 기념관 실내
실내로 들어오면 실내화를 착용한 후 돌아볼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양쪽으로 관람이 가능하기에 순서는 정해있지 않으니 차근차근 돌아 보시면 좋겠습니다.
실내 중앙에 가장 눈의 띄는 것은 바닥에 있는 팔도여지도라는 지도가 유리바닥에 있는 것을 볼 수 있어요.
박제상 전시관
우선 박제상 전시관을 먼저 둘러보도록 하겠습니다.
박제상 전시관은 충렬공 박제상의 일대기와 그 가족의 이야기를 패널과 영상물을 통해 소개되는 곳입니다.
박제상의 일대기를 이곳에서 어떤 인물이었는지 알 수 있어 아이들과 함께 관람하기 좋을 거 같습니다.
삼국시대의 입었던 의상들로 왕 의례복과 신분이 높았던 의복이 그림으로 전시되어 있습니다.
충렬공 박제상과 그의 부인과 함께 모형이 전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공간은 박제상이 고구려와 왜국의 볼모로 잡혀 있던 눌지왕의 두 아우를 구출하고 순국 한 이야기를 다룬 공간이에요.
눌지왕의 두 아우인 복호와 미사흔이 고구려와 왜국의 볼모로 가게 되었습니다. 고구려에 볼모로 있던 복호를 박제상의 설득으로 본국 신라로 돌아오게 되었지만 왜국에 있다는 미사흔은 여전히 볼모로 있었기에 다시 박제상은 왜국으로 갈 때 거짓으로 나라를 배반했다는 죄로 논하였는데요.
저들로 하여금 이 소식을 듣게 되면서 여전히 믿지 않았던 왜왕은 가족들이 옥에 가두었다는 말을 듣고 잠시 감시가 소홀해진 틈을 타 미사흔을 본국으로 돌려보내게 되지만 함께 신라로 돌아가면 계획이 이루어지지 못할 걸 염려해 홀로 남게 되었습니다.
결국 미사흔이 사라진 것을 알고 제상을 결박 미사흔을 배를 타고 추격했지만 실패로 돌아가게 되면서 미사흔은 혼자 신라로 돌아가게 되었습니다. 왜왕은 박제상을 목도로 유배 보냈다가 곧 사람을 시켜 섶에 불을 질러 전신을 불태운 후에 목을 베어지면서 순국하게 되었습니다.
안쪽으로 더 들어가면 이전에는 박제상에 대한 이야기였다면 이 공간은 박제상의 아내에 대한 이야기를 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
박제상의 부인은 남평이 고구려에서 돌아오자마자 일본으로 떠났다는 소식을 듣고 세 딸을 데리고 치술령에 올라가 왜국을 바라보며 통곡했는데요.
마침내 미사흔만 돌아오고 남편은 순절했다는 소식이 들리자 숨을 거두었는데, 몸은 망부석이 되고 넋은 치술조로 변하여 목도까지 날아가 남편의 넋을 맞아 신라로 돌아왔다고 합니다.
어느 날 왕이 있는 마루에 새 한 마리 날라와 앉아 구슬픈 소리로 지저귀며 <목도의 넋을 맞아 고국에 돌아오니 뉘라서 그것을 알리요>라는 뜻의 글자를 쪼아 놓고 날아가자 왕이 이상하게 여겨 뒤쫓아가 보게 하였던 바 치술암 기슭의 바위 속으로 들어갔습니다.
왕은 비로소 그 새가 박제상의 부인의 넋임을 알고 그 바위를 은을암이라고 하고 그 바위 위에 영신사를 세워 제사를 지내도록 하였다고 합니다. 만화 영상도 함께 감상할 수 있으니 함께 영상도 관람해 보시길 바랍니다.
울주 문화관
이곳은 울주 문화관으로 4세기부터 5세기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그 첫 번째로 그 시절의 생활 터를 구현한 모형들이에요.
그 시절의 초가집과 그 시절의 입었던 옷들과 그 풍경의 모습을 담은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외에도 생활의 모습을 담은 모형들과 울주군에 대한 이야기를 이곳에서 만나 볼 수 있습니다.
울주군 아이와 함께 가볼 만한 곳으로 충렬공 박제상 기념관을 돌아보았는데요.
충신이었던 박제상에 대한 이야기를 이곳에서 만나 보시면 어떨까요?
- #울산여행
- #울주군여행
- #울주가볼만한곳
- #충렬공박제상기념관
- #울주기념관
- #울산울주군여행
- #울주아이와가볼만한곳
- #울주나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