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주도청입니다.

"복지 혜택, 제대로 받고 계신가요?"

보건복지제도는 누구에게나 열려 있어야 하지만,

그 혜택이 실제로 필요한 이에게 닿지 않는다면

제도의 취지가 무색해질텐데요.

그래서 제주도는 매년 '사회보장급여 확인조사'를 통해

복지급여의 적정성과 수급 자격을 꼼꼼히 점검하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에도 조사를 진행하여 불필요한 급여 지급을 줄이고,

반대로 도움이 더 필요한 가구를 찾아내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함께 확인해볼까요?


📌 확인조사, 도대체 뭘 확인하나요?

기초생활보장, 기초연금, 장애인연금 등

총 13개 복지사업 수급자 1만 1,719가구를 대상

국세청, 국토교통부 등 21개 기관과 금융기관에서

수집한 소득·재산 정보(총 68종)를 기반으로,

수급자의 자격 요건과 지급 급여의 적절성을 확인합니다.

*13개 사회보장급여

기초생활보장 / 기초연금 / 장애인연금 / 차상위 장애수당 / 차상위자활

차상위본인부담경감 / 차상위 자산형성지원 / 한부모가족지원 / 차상위계층확인

타법의료급여(북한이탈주민/국가무형유산의 보유자/국가유공자) / 초중고 교육비 지원사업

✅ 3개월간의 확인조사 결과는?

전체 수급자 13만 2,295가구 중

전체 가구 중 약 9%에 해당하는 가구에 대해 확인조사를 실시!

📌급여가 증가한 1,888가구, 급여가 감소하거나 중지한 9,831가구

급여 변동 없음: 5,750가구

급여 증가: 1,899가구

급여 감소: 2,973가구

급여 중지: 1,097가구

▶부정수급 환수: 472건, 총 3억 2천만 원 환수 조치.

즉, 급여가 줄거나 중지예상 9,831 가구에 대해선

생활실태 조사를 병행, 5,761가구를 구제했고

실질적 위기상황에 놓인 716가구에는 맞춤형 복지서비스나

특례보호 연계를 진행했습니다.🌿

🧭 기준이 바뀌면서 더 많은 이웃이 복지안전망 안으로

기초생활보장 수급자는 선정기준 완화와

지속되는 경제 불황으로 지속적인 증가하는 추세인데요.

[ 제주도 인구 대비 기초수급자 비율 변화]

2023년

2024년

2025년 6월 기준

35,069명 (5.19%)

37,154명 (5.54%)

38,665명 (5.80%)

이에 제주도에서도 꾸준한 사회보장급여 확인조사를 통해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나서고 있으며

제도권 밖에 있는 위기 가구를 위해

저소득주민 '특별생계비 지원사업'을 연계,

복지 사각지대를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 혹시 내가 받을 수 있는 복지가 있는지 궁금하다면?

✅ 복지로(www.bokjiro.go.kr) 또는

✅ 제주복지포털(jwelfare.jeju.go.kr)

에서 자가진단을 해볼 수 있어요.

또한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에서도 상담 가능하니 꼭 문의해보세요!


사업에 대한 기타 세부 사항은

제주특별자치도청 홈페이지 공고문을 확인해주세요!

(제주특별자치도 홈페이지 > 도정소식 > 입법·고시·공고)

▼ 제주도청 누리집 바로가기 ▼

실제로 도움이 필요한 이웃에게는

맞춤형 공공·민간 서비스를 연계해

촘촘한 사회안전망을 구축하겠습니다!

문의

복지정책과

064-710-2811


▼ 제주특별자치도 블로그 이웃 추가하기 ▼

{"title":"공정한 복지, 정확한 확인에서 시작됩니다.","source":"https://blog.naver.com/happyjejudo/223928695169","blogName":"제주특별자..","domainIdOrBlogId":"happyjejudo","nicknameOrBlogId":"빛나는 제주","logNo":223928695169,"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