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어 있는 주차면, 요금 등

서울 전역 공영주차장 실시간

정보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편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함께 살펴보실까요?


‘서울 주차정보안내시스템’이 개편돼 공영주차장의 주차가능면수, 요금 등 실시간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된다.

앞으로는 비어있는 주차면, 요금 등 서울 전역 공영주차장의 실시간 정보를 더욱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서울주차정보’ 시스템이 개편되면서 지도 위에서 모든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되고, 주차장을 찾는 번거로움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시민들이 언제, 어디서나 주차장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2014년부터 운영 중인 주차정보안내 서비스를 7월 1일부터 모든 공영(노외)주차장으로 확대한다.

서울시 직영 공영주차장은 2022년부터 주차통합플랫폼을 구축하여 대부분 주차장에 대해 실시간 정보를 제공해 왔으나, 자치구에서 운영하는 공영주차장(이하 구영주차장)은 자치구별로 주차관제시스템이 제각각으로 작년 12월 기준 실시간 연계율이 연계 가능 주차장(386개소) 중 54%(210개소)에 불과한 실정이었다.

이에 서울시는 전액 시비를 투입해 사업을 직접 추진, 지난 2월부터 6월까지 시스템 미연계 구영주차장에 대해 실시간 주차정보 전송을 위한 시스템 설치를 완료했다.

단, 거주자우선, 월정기권 주차장 등 일반 시민 이용이 불가하거나, 여건상 실시간 연계가 불가한 주차장은 ‘실시간 주차가능면수’ 정보를 제외한 위치, 요금, 운영시간 등 기본정보만 제공된다.

서울시 주차정보안내시스템 누리집 화면. 7월부터 자치구 운영 공영주차장의 실시간 주차정보를 안내한다.

아울러 ‘서울주차정보’ 모바일 앱의 지도화면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해 주차장 선택 시 핵심 요소인 ‘요금’ 정보를 지도화면에 함께 표기하는 기능을 새롭게 도입했다.

기존에는 지도상 주차장 ‘위치’만 제공되어 요금비교를 위해서는 주차장마다 개별 상세정보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지만, 주차장의 ‘요금’ 정보를 시민들이 한눈에 비교 선택할 수 있도록 개선했다. 표출되는 주차요금은 비교가 용이하도록 각 주차장 요금을 기본 1시간 요금으로 환산해 제공된다. 이는 시민들의 주차비 부담 완화는 물론, 주차장 간 수요 분산과 이용율 향상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서울주차정보 앱 지도화면 개선 전→후 비교(예시)

시는 현재 진행 중인 ‘2025년 자치구 주차장 수급 및 안전관리 실태조사(법정 전수조사)’(3년마다 실시) 결과를 기반으로, 시스템에 등록된 주차장 위치, 요금, 운영시간 등 정보를 전면 정비할 계획이다. 조사 과정에서 그동안 정보 제공 대상에서 누락된 신규 개방형 주차장(공공기관 부설, 민간주차장 등)을 추가 발굴해 정보 제공 대상 범위 또한 확대할 계획이다.

또한 교통유발부담금 부과 대상시설(연면적 1,000㎡ 이상 대형시설)을 대상으로 주차정보안내시스템 연계 참여를 적극 유도할 방침이다.

문의 : 다산콜센터 02-120 , 주차계획과 02-2133-2356

서울시 주차정보안내시스템

○ 대상 : 공영(시·구)주차장, 민영주차장 (불특정 다수가 이용 가능한 개방주차장)

○ 제공 정보 : 위치, 요금, 운영시간, 주차장 규모, 실시간 주차가능면수 등

○ 이용 방법 : 모바일 앱 ‘서울주차정보’(구글플레이, 앱스토어) 또는 누리집 이용

※ 앱스토어(iOS)의 경우, 7월 중순경 적용 예정


{"title":"서울 공영주차장 실시간 정보 한눈에 확인하세요! 요금부터 주차가능면수까지 총정리","source":"https://blog.naver.com/haechiseoul/223917671495","blogName":"서울특별시..","domainIdOrBlogId":"haechiseoul","nicknameOrBlogId":"동행","logNo":223917671495,"smartEditorVersion":4,"lineDisplay":true,"outsideDisplay":fals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m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