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안산시 SNS 시민기자단 이강민입니다.

저는 업무 특성상

폐건전지를 많이 접하게 되는데요.

이 폐건전지들을 버리려

쓰레기통을 찾다가,

일반쓰레기로 버리면 안 된다는

글을 본 적이 있어서

관련 정보를 찾아보았습니다.

폐건전지는 생활폐기물과

혼합배출 하게 될 경우

자칫 화재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어

분리배출을 권장하고 있는데요.

반드시 지정된 장소에

배출해야 합니다.

안산시는 폐건전지를

회수에서 멈추지 않고

생활에 유용한 물품으로

교환해 준다고 하여

바로 달려가보았습니다.

교환장소는 각 동 행정복지센터인데요.

저는 교환할 폐건전지를 들고

집과 가까운 부곡동

행정복지센터로 향했습니다.

현재는 폐건전지와

씻어서 말린 종이팩을

교환해 주고 있었는데요.

교환기준은 아래와 같습니다.

- 폐건전지 20개당 종량제 봉투 10L 한 매

- 종이팩 0.5kg 당 화장지 1롤

저는 폐건전지

53개를 들고 갔는데요.

담당자님이 올림해서

60개로 계산해, 종량제 봉투 3매를

주셨습니다. ㅎㅎ

그냥 쓰레기가 될 뻔했던

폐건전지가 생활에 유용하게

사용 가능한 종량제 봉투로 변신해서

너무 기분이 좋은 하루였습니다.

여러분도 혹시 집에 굴러다니는

폐건전지나 모아둔 종이팩이 있다면

가까운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여

생활용품으로 교환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꼭 생활 용품으로 교환하지 않더라도

아래 나와 있는 분리배출 방법에 따라

폐건전지, 보조배터리 등을 배출하여

화재도 예방하고 재활용하여

환경을 보호하는데 일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폐건전지, 보조배터리

분리배출 4가지 방법

- 충전식 건전지를 포함한 모든 폐건전지는

폐건전지 전용 수거함에 배출해야 합니다.

- 전지 내장제품에서 전지를 분리하여

폐건전지 전용 수거함에 배출해야 합니다.

(ex. 리모컨, 온도계, 전동공구, 스마트키,

손전등, 무선청소기, 완구 등)

- 전지와 제품이 일체형인 경우

제품 그대로 폐건전지

전용 수거함에 배출해야 합니다.

(ex. 보조배터리, 전자담배, 스마트워치, 무선이어폰 등)

- 폐건전지 전용수거함에

배출할 수 없는 경우(전동킥보드, 파워뱅크 등)

한국배터리순환자원협회(02-6954-0666)로

연락 주세요.


{"title":"종이팩과 폐건전지, 버리지 말고 행정복지센터에서 교환합시다!","source":"https://blog.naver.com/cityansan/223822007321","blogName":"안산시 공..","domainIdOrBlogId":"cityansan","nicknameOrBlogId":"안산시","logNo":223822007321,"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