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게 맞는 정책
웰로에서 찾아요!

정책
서비스가
더 궁금한가요?
5,200만 국민에게
정책을 알리고 싶다면?
QR코드

명이 보는 중

유아학비 (누리과정) 지원

  • 마감 D-231
  • 현물(감면)
  • 온·오프라인
지원혜택
최대 28만원
신청기간
25.01.01(수)~25.12.31(수)
정책기관
image교육부
  • 국공립 및 사립유치원에 다니는 3~5세 유아가 지원 대상입니다. 입학을 희망하는 3세반 유아와 취학유예 아동도 포함됩니다.
  • 추가지원은 사립유치원 다니는 저소득층 유아에게 주어지며, 자격 중지는 재신청이 필요합니다. 외국 국적 유아나 중복수혜자는 제외됩니다.
  • 교육비는 국공립 10만원, 사립 28만원 지원합니다. 신청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또는 온라인으로 가능합니다. 보육료 수혜자는 유아학비로 변경 필수입니다.
사이트로 이동담당부서 전화
육아생활

지원대상

○ 국공립 및 사립유치원에 다니는 3 ~ 5세 유아

- '22년 1~2월생으로 유치원 입학을 희망하여 3세반에 취원한 유아도 지원 대상

- 취학대상 아동('18.01.01. ~ 12.31. 출생)이 취학을 유예하는 경우, 유예한 1년에 한하여 5세 유아 무상교육비 지원(취학유예 통지서 제출)

※ 단, 지원기간은 3년을 초과할 수 없음

○ 추가지원: 저소득층 유아(유아학비 지원 대상 자격이 있고, 사립유치원에 다니는 법정저소득층(기초생활수급자, 차상위계층, 한부모 가정) 유아)

○ 자격 중지 후 유아학비를 다시 지원받기 위해서는 재신청 필요

○ 선정기준

※ 2025.03.01 ~ 2026.02.28. 까지 적용

- 지원대상: 국공립유치원 및 사립유치원에 다니는 만 3 ~ 5세 아동

· 5세: '19.01.01. ~ '19.12.31.

· 4세: '20.01.01. ~ '20.12.31.

· 3세: '21.01.01. ~ '22.02.28.

- 신청인: 아동의 보호자

- 신청장소: 온라인 신청(복지로 복지사업서비스 (www.bokjiro.go.kr)) 및 읍면동 주민센터(아동 주민등록 주소지)

※ 제외대상

- 대한민국 국적을 가지지 않은 유아(난민 및 「재한외국인 처우 기본법」에 따라 법무부장관이 인정한 '특별기여자 등'은 예외적으로 인정)

- 가정 양육수당 및 어린이집 보육료를 지원 받고 있는 유아

- 유치원 이용시간에 아이돌봄서비스 등과 중복지원 불가

- 해외 체류 기간이 31일째 되는 날 유아학비 지원자격 중지

※ 중복혜택 불가

- 보육료, 아동양육수당과 중복수혜 불가, 유아학비 신청과 동시에 보육료 및 양육수당 수혜서비스 중단

지원내용

○ 3 ~ 5세에 대해 교육비를 지급

- 국공립 100,000원, 사립 280,000원

○ 3 ~ 5세에 대해 방과후과정비를 지급

- 국공립 50,000원, 사립 70,000원

○ 사립유치원을 다니는 법정저소득층 유아에게 저소득층 유아학비를 추가 지급

- 사립 200,000원

관련정보

○ 구비서류

- 사회복지서비스 및 급여제공(변경) 신청서

-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권(바우처) 제공(변경) 신청서

- 아시아랑 카드발급 신청 및 개인신용정보의 조회·제공·이용 동의서

○ 관계법령

- 유아교육법(제24조)

- 영유아보육법(제34조)

- 유아교육법 시행령(제29조)

신청방법

○ 방문: 유아의 보호자가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

○ 온라인: 복지로(http://www.bokjiro.go.kr/)

※ 신청 후 학부모 인증 신청에 따라 교육청에서 유치원으로 지원금액이 입금

※ 기존에 보육료, 양육수당 등 다른 복지서비스의 지원 자격을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는 반드시 유아학비로 변경 신청해야 지원 가능하며, 소급지원 불가

※ 신청일 기준으로 지급, 유아학비 신청과 동시에 보육료 즉시 지원 중단되며, 양육수당은 변경신청일 기준에 따라 지원 중단됨

댓글 -

    관련 커뮤니티 글

    • 정책소식2024년 교육정책 100% 활용하는 법
      1년 전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