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이 보는 중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 마감
  • 현금
  • 온라인
지원혜택
최대 연 240만원
신청기간
24.02.26(월)~25.02.25(화)
정책기관
image국토교통부
사이트로 이동담당부서 전화

지원대상

○ 19~34세 독립거주 무주택 청년 중 청년가구 소득이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이면서, 원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00% 이하

- (청년가구) 청년 + 배우자 + 직계비속 + 동일 주소지에 거주하는 그 외 「민법」상 가족

- (원가구) 청년독립가구 + 1촌이내 직계혈족(부·모)

※ ① 30세 이상, ② 혼인(이혼), ③ 미혼부·모, ④ 30세 미만 미혼 청년의 소득이 중위소득 50% 이상으로 생계를 달리한다고 시·군·구청장이 인정하는 경우 등은 원가구 소득 미고려

○ 아래 해당하는 경우 지원 대상 제외

- 주택 소유자(분양권, 입주권 포함)

- 직계존속·형제·자매 등 2촌 이내 혈족(배우자의 2촌 이내 혈족 포함) 주택 임차

- 공공주택특별법에 따른 공공임대주택(공무원임대주택 포함) 거주

- 1실(방)에 다수가 거주하는 방식의 전대차인 경우(단, 1실에 다수가 거주하는 경우라도 임대인과 별도 임대차계약 체결 시 지원 가능)

- 국토부 또는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청년월세 지원 수혜 중인 자(수혜종료 후 신청 가능) 등

※ 거주요건 폐지(2024. 4. 12.)

- 보증금 5천만원 이하 및 월세 70만원 이하

지원내용

○ 월세로 거주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실제 납부하는 임대료를 최대 480만원(월 최대 20만원)까지 최대 24개월(회) 동안 매월 분할하여 지원

- 방학기간 등으로 수급기간이 연속적이지 않더라도 지급기간 내 24개월(회) 지원

- 실제 월세 범위 내에서 지원하며, 임차보증금, 관리비 등은 제외 후 지원

- 주거급여 수급자의 경우 주거급여액 중 월차임분(청년 주거급여 분리지급액 포함)을 차감한 금액만 지원

관련정보

- 관련 정보 없음

신청방법

○ 방문: 주소지 관할 주민센터

○ 온라인: 복지로(https://www.bokjiro.go.kr)

- 경로: 복지로 로그인 > 서비스 신청 > 복지서비스 신청 > 복지급여 신청 > 기타 >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