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4일 전
퇴계 선생이 태어나신 태실이 있는 안동 진성 이씨 온혜파 종택
안동하면 떠오르는 인물이 있으신가요?
퇴계 이황, 이육사, 이상룡 선생님이 생각나는데요.
퇴계 이황 선생님과 관련된 인물이랍니다.
안동 도산에는 문화재와 명소들이 많은데요.
제가 소개해 드릴 곳은 노송정종택으로도 불리는
안동 진성 이씨 온혜파 종택입니다.
도산면 온혜리에 있는 노송정종택은
퇴계 이황 선생님의 조부이신 이계양 선생님이
조선 단종 2년(1454년)에 지었습니다.
솟을 대문인 성림문이 가장 먼저 나오고
정면에 보이는 곳은 노송정으로 좌측으로 ‘ㅁ’ 자형
정침, 우측에는 사당이 있어요.
진성 이씨 온혜파 종택은
노송정종택으로도 불리는데
종택으로 들어가는 문인 성림문이 보입니다.
퇴계 이황 선생의 모친인 춘천박씨가
공자가 문 안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고
퇴계 이황을 낳아서 붙여진 이름이랍니다.
'노송정'은 이계양 선생의 호인데요.
단종이 폐위되자 초야에 묻혀 살기를 결심하고
온혜에 집을 짓게 되었고 지금의 노송정종택입니다.
이곳에 들어왔을 때 늙은 소나무가 많아서
노송정이라는 호를 사용했다고 해요.
노송정에는 해서체로 써져있는
공자가 태어난 곳과 온혜를 연결하는 의미를 담은
해동추로 현판과 서쪽에는 해동추로와 뜻하는 것이
같은 산남낙민 현판이 있습니다.
노송정의 좌측에는 ‘口자형’ 정침이 있는데요.
안마당을 중심으로 전면 쪽에 사랑을,
배면 쪽으로 정침을 주면서 좌우에 익사를 거느린
口자형을 이루고 있으나 독특하게
몸채의 중앙에 방 한 칸이 돌출되어 있어요.
이곳이 퇴계 선생이 태어나신 퇴계태실인데요!
이계향 선생이 승려와 온혜의 풍수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던 중 스님이 주변을 살피다
낮은 구릉 기슭의 빈터를 가리키며
‘여기에 집을 짓고 살면 귀한 아들을 얻을 것이다'
라고 한 후 1501년 퇴계 선생이
이곳에서 태어나셨다고 해요.
이황 선생님이 태어난 곳이라 이곳에 오니
편안해 지고 집터도 좋은 것 같은 느낌이 들었어요.
노송정종택에 부엌에는 가마솥, 항아리,
주전자, 키, 바가지 등 박물관에서
볼수 있는 것들이 있었답니다.
퇴계태실을 문밖으로 나가서 바라본 모습인데요.
고택에서만 볼 수 있는
아름다운 모습을 담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온천정사, 귀암, 지간 현판이 위쪽에 붙어 있었어요.
안동 진성 이씨 온혜파 종택은
국가 민속문화재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노송정 오른쪽으로 계단이 있고
길을 따라가면 건물이 하나 보이는데
이곳이 사당입니다.
이곳은 안동 진성 이씨 온혜파종택의 사당입니다.
노송정종택은 사당을 끝으로 모두 둘러보았습니다.
안동 진성 이씨 온혜파 종택은
원래는 퇴계태실로 지정되었다가 퇴계 선생과
관련된 문화재적 가치를 인정받아서
안동 진성 이씨 온혜파 종택으로 명칭을 바꾸고
국가 민속문화재로 승격되었다고 합니다.
이곳은 고택 숙박도 가능하니
안동 여행을 하실 때
안동 진성 이씨 온혜파 종택에서
숙박하면서 좋은 기운도 받아 가시는건 어떠실까요?
입구에 주차장이 있어서 주차 걱정도 없습니다.
즐거운 안동여행 되세요!
설명출처 : 입구 안내문, 도산서원 홈페이지, 디지털 안동문화대전
📍 안동 진성 이씨 온혜파 종택
주소
경북 안동시 도산면 온혜리 604번지
본 내용은 김희열 안동시
SNS 기자단 개인의 의견으로,
안동시 공식 입장이 아님을 밝힙니다.
- #안동
- #안동시
- #마카다안동
- #안동진성이씨온혜파종택
- #진성이씨온혜파종택
- #퇴계태실
- #퇴계이황
- #안동국가민속문화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