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농철 농기계 사고 급증,

농기계 사고 안전수칙

3월~5월 영농기에는

농기계 사용 증가로 인해

농기계 사고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시기

농민들의 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오늘은 영농철 농기계 사고 발생과

농기계 사고 안전 수칙에 대해

경북과 함께 알아봅시다.


농기계 안전사고 발생 건수

먼저, 지난 농기계 안전사고

집계 결과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경상북도 소방본부에 따르면,

2023년 한 해 동안 농기계 관련 사고는

총 665건이 발생하였습니다.

*이 중 626명이 병원으로 이송되고 39명이 사망,

587명이 상처를 입은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2024년 한 해 동안 도내에서 발생한

사고 건수는 719건으로

전년대비 더 많은 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이 중 667명이 병원에 이송되고 51명이 사망,

616명이 부상을 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2025년에 들어서도

농기계 사고(80건)는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는데요.

특히, 봄철(3월~5월) 영농기에는

농기계 사고가 집중적으로 발생하는 경향이 있어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농기계별 사고 발생 건수

사고가 발생하는

농기계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농기계별 사고 현황은

경운기 447건 ( 62.2%)

▪ 트랙터 112건 (15.6%)

▪ SS기(고속분무기) 33건 (4.6%)

▪ 콤바인 13건 (1.8%)

▪ 기타 농기계 114건 (15.8%)

순으로

가장 많은 사고를 유발한 농기계는

경운기로 확인되었습니다.

하지만, 어떤 농기계를 사용하더라도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연령대별 농기계 안전사고 발생 비율

다음은 연령대별 농기계 안전사고 발생 비율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

연령대별 사고자 비율은

▪ 90대 이상 8명 (1.2%)

▪ 80 대 205명 (30.7%)

70 대 207명 (31%)

▪ 60 대 158명 (23.8%)

▪ 50 대 57명 (8.5%)

▪ 40대 이하 32명 (4.8%)

고령층에서 특히 높게 나타났으며,

70대가 전체의 31%로 가장 많았습니다.

농기계 안전사고 예방 수칙

농기계 사고는 농기계 사용 증가

농업인의 고령화로 인한 기계 조작 부주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는데요!

이러한 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농업인들이 농기계 사용 시

철저히 안전 수칙을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농기계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한

예방 수칙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농기계 안전사고 예방수칙

✅헐렁한 복장이나 늘어지는 옷 착용 피하기

✅작업 전, 후 농기계 안전점검

✅경사로, 좁은 길 등 논, 밭 출입 시 주변 안전 확보

✅작업 간 적절한 휴식

✅농기계 음주운전 금지

✅교차로에서는 반드시 신호 준수

✅농기계 등화장치(반사판) 작동

✅농기계 동승 금지

평소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농기계 안전사고 예방수칙을

꼭 숙지해야 합니다!


봄철 본격적인 영농기를 맞아

농기계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는 만큼

운전자 스스로 안전 수칙을 준수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또한, 농기계 사고 발생 시에는

인명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신속히 119에 신고해 주세요.

🔽 경북 SNS 바로가기 🔽

{"title":"영농철 농기계 사고 급증, 농기계 사고 안전수칙","source":"https://blog.naver.com/gyeongbuk_official/223845860226","blogName":"경상북도 ..","domainIdOrBlogId":"gyeongbuk_official","nicknameOrBlogId":"경상북도 보이소","logNo":223845860226,"smartEditorVersion":4,"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