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한 청년들이 200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

올해부터는 정부기여금도 인상돼 도약계좌 가입 시 연 최대 9.54%의 적금에 가입한 효과를 누릴 수 있을 전망인데요. 요즘 같은 금리 인하 시기에 더욱 매력적인 정책 금융상품으로 떠오르면서 목돈을 모으려는 청년들의 가입 열기가 뜨겁게 이어지고 있죠. 6월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 기간은 언제인지 알아보아요!


6월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 기간

이번 달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 기간은 6월 2일(월) ~ 6월 13일(금)까지입니다. 가입대상으로 안내받은 1인 가구는 6월 19일(목) ~ 7월 11일(금)까지, 2인 이상 가구는 6월 30일(월) ~ 7월 11일(금) 사이에 계좌를 개설(은행 영업일만 가능)할 수 있습니다.

📅 6월 가입 신청 기간 : 2025. 6. 2.(월) ~ 6. 13.(금)

📅 6월 계좌 개설 기간 : 1인 가구 : 2025. 6. 19.(목) ~ 7. 11.(금) | 2인 이상 가구 : 2025 6. 30.(월) ~ 7. 11.(금)


5월 청년도약계좌 신청자 가입 기간도 확인하세요!

지난 5월에는 5월 2일(금) ~ 5월 16일(금)까지 도약계좌 가입 신청이 진행됐는데요. 가입 대상자로 안내받은 1인 가구는 5월 22일(목) ~ 6월 13일(금)까지, 2인 이상 가구는 6월 2일(월) ~ 6월 13일(금)까지 은행에서 계좌를 만들 수 있습니다.

📅 5월 가입 신청 기간 : 2025. 5. 2.(금) ~ 5. 16.(금)

📅 5월 계좌 개설 기간 : 1인 가구 : 2025. 5. 22.(목) ~ 6. 13.(금) | 2인 이상 가구 : 2025 6. 2.(월) ~ 6. 13.(금)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은?

청년도약계좌는 계좌개설일(가입일) 기준 만 19 ~ 34세 이하 청년 가운데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또는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인 경우 가입이 가능합니다. 소득기준은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이 250%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

💡 나이 : 계좌개설일(가입일) 기준 만 19세 ~ 34세 이하*

* 병역이행 기간(최대 6년)은 연령 계산 시 빼고 계산

💡 개인소득 : 직전 과세기간의 총 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이며, 종합소득과세표준에 합산되는 종합소득 금액이 6,300만 원 이하인 경우

* 단, 육아휴직급여(육아휴직수당), 군 장병 급여 외에 비과세 소득만 있는 경우는 제외

💡 가구 소득 : 가구원 수에 따른 기준 중위소득 250% 이하에 해당하는 자

* 직전 과세기간의 소득이 확정되지 않은 기간에 소득을 확인한 경우 전전 연도 소득으로 인정

* 가구원은 청년 본인과 본인의 주민등록표 등본상 배우자, 부모, 자녀, 형제·자매(미성년자)를 기준으로 판단

가구원 수

기준 중위소득 250%(연)

1인 가구

62,336,760

2인 가구

103,684,650

3인 가구

133,044,480

4인 가구

162,028,920

5인 가구

189,920,640

6인 가구

216,839,430

7인 가구

243,225,450


청년도약계좌 기여금 · 가입 혜택

청년도약계좌는 5년간 매달 70만 원 내에서 자유롭게 저축하면 은행 이자(금리 연 4.5~6.0%)와 정부 지원금을 더해 만기 시 최대 5,000만 원가량의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정책금융상품으로 알려져 있죠.

정부기여금은 납입액에 비례해 소득구간별로 지원되고 있는데요. 올해 1월부터는 모든 가입자가 실제로 납입한 만큼 기여금을 매칭 받을 수 있도록 모든 소득구간에서 매칭 한도를 월 70만 원까지로 확대하고, 기존 대비 매칭 한도가 확대된 구간에는 매칭비율 3.0%를 적용한 기여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납입액과 정부기여금에 대한 이자소득세를 받지 않는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고요. 2년 이상 가입을 유지하고 800만 원 이상 성실 납입 시 개인신용평가 점수에 가점도 자동으로 부여됩니다. 저소득층 청년에게는 일정 수준의 우대금리를 제공하는 등의 가입 혜택을 제공합니다. 은행마다 급여통장, 카드 실적 등 조건에 따라 우대금리를 제공하고 있으니 비교해 보고 나에게 맞는 금융기관을 선택해 보시길 추천해요!

또한 조세특례제한법 개정(2025. 1. 1.시행)에 따라 3년 이상만 가입을 유지하면 부득이하게 중도해지하더라도 비과세 혜택과 기여금을 일부(60%) 지원받게 되어 연 최대 7.64%의 일반 적금 상품 수익 효과도 볼 수 있도록 변경되었습니다.

💡 5년간 매달 70만 원 납입 시 정부 지원금을 더해 최대 약 5000만 원가량의 목돈 마련

* 은행 이자에 더해 소득구간별 정부기여금 지원 및 비과세혜택 (저소득층 청년 대상 일정 수준의 우대금리 제공)

💡 정부지원금 매칭(월 최대 2.4만 원 → 최대 월 3.3만 원)

💡 기본금리+소득 우대금리+은행별 우대금리 적용(최대 9.5%)

💡 비과세* 상품(이자소득의 15.4% 해당하는 세금 면제)

💡 성실 납입 시,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 자동 부여

💡 하반기부터 조건 충족 시, 부분인 출 서비스 이용 가능

💡 3년 이상 가입 유지 시 비과세 혜택 + 기여금 일부(60%) 지원


가입 방법

청년도약계좌는 11개 취급은행(농협, 신한, 우리, 하나, 기업, 국민, 부산, 광주, 전북, 경남, 대구은행) 앱을 통해 비대면 신청이 가능합니다. 가입을 신청하면 가입요건 확인 절차(심사)를 거쳐 계좌개설이 가능하다고 확인된 청년은 계좌 개설 기간 중 취급은행에서 계좌 개설이 가능하니다.

💡 가입 신청 방법 : 11개 취급은행 앱(app)을 통해 매월 비대면 신청

* 가입신청 → 가입요건 확인* → 가입 가능 여부 안내 → 계좌개설 (가입신청 마지막 일로부터 2주 소요)

💡 취급은행 : 국민, 기업, 농협, 신한, 우리, 하나, 경남, 광주, 대구, 부산, 전북


청년도약계좌 상품에 관한 보다 자세한 안내는 청년도약계좌 홈페이지 또는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https://ylaccount.kinfa.or.kr)를 참고하시거나, 서민금융콜센터(☎ 1397) 또는 취급은행 콜센터로 문의해 주세요 :)

{"title":"6월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 기간 · 계좌 개설기간 ✔","source":"https://blog.naver.com/osan_si/223882151509","blogName":"오산시 블..","domainIdOrBlogId":"osan_si","nicknameOrBlogId":"오산시","logNo":223882151509,"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