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예총(회장 이희석)가 주최한 '제7회 태화강예술제-예루하'가 6월 22일 사흘간의 대단원의 막을 내렸습니다.

태화강 국가정원 남구둔치 일원에서 열린 마지막 날 저녁, 환상적인 축제의 풍경을 포스팅합니다.

'예하루'는 예술로 누구나 하나 되는 세상의 뜻입니다.

6월 20일부터 열린 이번 예술제는 예술로 디자인 한 다양한 행사와 공연을 성황리에 마쳤습니다.

문인·미술·사진·연예·음악·국악·무용·연극·건축 등 울산예총 산하 9개 회원 단체가 태화강에서 자연과 예술이 어우러져 하나가 되는 울산을 만들기 위한 시민 참여 예술 축제로 개최되었습니다.

저녁 6시부터 시작된 울산국악협회 '소리로 떠나는 시간여행'은 아름다운 태화강 물결 위에서 화려하게 열렸습니다.

대금과 소금, 피리와 태평소, 해금과 가야금, 아쟁과 타악, 드럼의 합주가 울러퍼지는 가운데 막을 올렸습니다.

울산국악협회 무용단의 화려한 신풀이를 시작으로 화려한 무대를 꾸렸습니다.

귀신 들린 사람을 위하여 푸닥거리하는 신풀이 무용답게 화려한 무대가 펼쳐졌습니다.

한량무가 펼쳐졌습니다.

한량은 양반 출신으로 무과에 급제하지 못한 사람, 또는 노상 놀고먹는 사람을 말합니다.

도포를 입고 정자관을 쓴 한량의 춤사위는 해학적이고 무언극 요소로 시대상을 풍자했습니다.

쾌지나칭칭나네로 최진영 가수가 한바탕 신명나는 무대를 연출했습니다.

농악에서 쓰이는 꽹과리 소리의 의성음으로 추정됩니다.

경상도 남성의 꿋꿋한 기질을 나타내 줍니다.

서도소리 연곡에는 강옥정, 정금숙, 도미화 명창의 ‘개성난봉가’'배치기' ‘연평도난봉가’ ‘사설난봉가’ 가 신명 났습니다.

서도소리는 평안도와 황해도 민간에서 불린 노래로 떠는 소리, 큰 소리로 길게 뽑다가 가만히 떠는 창법입니다.

민요의 향연이 펼쳐지면서 무대는 극에 달했습니다.

전통으로 이어오는 민요는 지금 이 시대에도 여전히 살아 숨 쉬는 음악임을 증명해 보였습니다.

저녁 7시부터 시작된 울산연예예술인과 함게하는 태화강 정원가요제가 개최되었습니다.

축하공연으로 '장고 공연'이 신명나는 무대를 열었습니다.

바네사 밸리댄스가 현란한 몸놀림으로 밸리댄스를 선보였습니다.

선정적인 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예술의 한 장르여서 색다른 이미지가 풍겼습니다.

울산 연예예술인 가수 정해인이 출연해 열창을 해 무대의 분위기를 흥겹게 했습니다.

가창력과 끼를 발휘하며 관중을 즐겁게 해준 기량이 돋보였습니다.

가수 신대양이 출연해 '선물' 등 트로트를 열창해 박수를 받았습니다.

특히 많은 팬클럽이 찾아와 열띤 응원전을 펼쳤습니다.

태화강 정원가요제가 예심을 거쳐 올라온 10명의 아마추어 가수들의 열띤 경연이 시작되었습니다.

말이 아마추어지 기성 가수 못지않은 가창력을 발휘하며 분위기를 압도했습니다.

가요제 참가자들의 열띤 경쟁과 어우러진 음악적 끼가 어우러져 태화강은 흥과 감성의 도가니였습니다.

기성 가수의 실력을 뺨치는 노래는 이번 축제의 가장 흥미를 끈 피날레였습니다.

노래와 끼가 왕성한 숨은 가수를 발굴하는 정원가요제는 총상금 250만 원으로 100팀이 예선을 거쳤습니다.

본선에 오른 10개 팀이 예루하의 마지막을 풍성하고 아름답게 장식했습니다.

※ 해당 내용은 '울산광역시 블로그 기자단'의 원고로 울산광역시청의 공식 입장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title":"예술로 물드는 태화강예술제 ‘예루하’ 마지막 날 풍경","source":"https://blog.naver.com/ulsan_nuri/223916417990","blogName":"울산광역시..","domainIdOrBlogId":"ulsan_nuri","nicknameOrBlogId":"울산광역시","logNo":223916417990,"smartEditorVersion":4,"lineDisplay":true,"outsideDisplay":false,"m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