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위안부 피해자의 고통을 기억하기 위한 공간,

희움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중구 경상 김영길에 위치한 희움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은

일본군 ‘위안부’피해자들이 겪었던 고통의 역사를

잊지 않고 기억하기 위해 활동하는 공간입니다.

지금부터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희움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 주소 : 대구 중구 경상 강영길 50

▮ 운영시간 : 10:00 ~ 18:00 (마지막 입장 17:30)

▮ 휴관일 : 매주 일, 월요일, 공휴일, 역사관 지정 임시 휴관일

▮ 관람료 : 성인 – 2,000원, 14~19세/장애인/

65세 이상 – 1,000원 (어린이(초등학생 이하) 무료)

▮ 전화번호 : 053-254-1431

희움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은

2,000원의 입장료가 있습니다.

장애인, 청소년, 어르신은 1,000원이며,

어린이는 무료입니다.

역사관의 입구에는 희움 스토어가 마련되어 있는데,

브랜드 ‘희움’은 위안부 할머니 후원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위안부 할머니와 함께하는 브랜드입니다.

희움은 수익금 전액을 위안부 문제 해결 활동 및

위안부 역사관 운영기금으로 사용하고 있다고 해요!

전시는 총 2층 규모로 전시되어 있고,

위안부 역사관은 1997년 시작된

<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활동을 시작으로

역사관 건립 기금 마련을 위해 지속적으로

범국민 모금 캠페인을 전개하였고,

시민모임의 노력과 시민들의 성원, 여성가족부,

대구광역시, 대구 중구청 등 지원에 동참하여

현재의 위치에 위안부 역사관이 개관하게 되었습니다.

1층 전시실은 맞이방과 전시실 1, 영상실 등

일본군 위안부 제도와 생존자들의 기억,

문제 해결 운동사 등이 전시되어 있어요.

위안부에 대한 초기의 증언은 피해 상황을 입증하기 위한

증거였기 때문에, 피해자들은 그들이 겪은 고통을

반복적으로 이야기해야 했고, 이로 인해 그들에게는

트라우마에 지속적인 노출이 되는 결과를 낳았는데요~

하지만 피해를 받은 사람들과 일본군의 만행을

널리 알리기 위해 그들은 이를 참고 용기를 냈습니다.

모서리의 여성들이라는 전시에서는

일본군 위안부에서 벗어난 할머니들의

그 이후의 삶에 대한 이야기가 전시되어 있어요.

또, 해방 후 위안부 피해자들의 귀환 과정과 미귀환자,

연도별 일본군 위안소 제도 전개 과정, 영화 속 위안부 등

위안부에 대한 우리가 자세하게 알지 못했던

내용들이 소개가 되어 있는데 이 중에서는

억울하게 돌아가신 분이나 돌아와서도

따가운 눈초리 속에 조용히 숨어

지낸 분들이 많았다고 합니다.

이곳은 재건축 당시 발견된 지하 벙커로,

지역 작가나 젊은 작가가 평화의 메시지를 새기고,

장소의 특성을 살릴 수 있는 전시를 기획하는 공간입니다.

전시는 2층으로 이어집니다.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에는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의 사진이 액자로 걸려있었어요.

2층에 전시실 2에서는 평화와 함께

여성인권에 대한 기획 전시가 열리고 있습니다.

과거 전쟁이 벌어질 때, 세계 각국에서 여성에 대한

성폭력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무력분쟁이

발생할 때마다 왜 여성들이 성폭력을 당하는가에

대한 물음이 국제사회에 던져졌습니다.

이를 통해 과거 성폭력에 대한 문제를 세상에 알리고

전쟁범죄를 단죄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 VR 체험을 통해 위안부 할머니들의

아픔을 함께 공감할 수 있었습니다.

이 밖에 개관 10주년 기념

<희움 일본군 ‘위안부’역사관의 길을 잇다>

사진전도 전시 중이었습니다.

이 사진전은 역사관의 개관 과정을

사진과 리플릿 등 다양한 형태로

만나보실 수 있으니 사진전도 함께 관람해 보세요!

오늘은 대구 중구에 위치한

‘희움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위안부 피해 이후 결코 순탄치 않았던 피해 할머니들의 삶과

시간이 흐를수록 점점 줄어들어가는 이들을 기억하여

일본의 진심이 담긴 사과를 받아야 합니다.

또, 앞으로 이런 성폭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많은 사람들의 관심과 참여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title":"일본 위안부 피해자의 고통을 기억하기 위한 공간, 희움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source":"https://blog.naver.com/dgjunggu/223921829605","blogName":"대구광역시..","domainIdOrBlogId":"dgjunggu","nicknameOrBlogId":"대구중구청","logNo":223921829605,"smartEditorVersion":4,"caf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lineDisplay":true,"blogDisplay":true,"m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