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일 전
문경 아이와 갈만한곳 , 자연생태박물관 벅스 어드벤처
문경 아이와 갈만한곳 ,
'자연생태박물관'
문경새재 일원의 생태자원과 생물자원을 연구 및 전시하는
문경자연생태박물관은 문경새재 방문하면
함께 들리는 여행 코스 중 한 곳인데요.
이곳에 최근 아이들 뛰어놀기 좋은
무료 놀이터, 벅스 어드벤처가 신설되어 소개를 해드립니다.
초록 초록 생기 넘치는 모습으로
새롭게 생긴 키즈 놀이터 벅스 어드벤처는
문경자연생태박물관 내 1층 왼쪽에 마련되어 있으며
신발을 벗고 들어가야 합니다.
매주 월요일은 휴무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아이들이 몸으로 직접 부딪히고 신나게 뛰어놀 수 있는
놀이 기구들이 많이 비치되어 있습니다.
생긴지 얼마 안 된 곳이다 보니
시설도 상당히 깔끔하고 넓었어요.
활동적으로 움직이는 공간인 만큼
안전에도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하기 때문에
반드시 보호자 동반 시에만 이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점프하며 뛸 수 있는 방방도 마련되어 있었습니다.
아이들 전용으로 만들어진 공간이라 어른은 이용 금지입니다.
안전요원이 상시 거주하고 있기 때문에
요원의 지시를 잘 따라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미끄럼틀이나 그물망, 짚라인 등
옷이 기구에 걸리면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레이스나 끈이 달린 옷, 치마는 더 조심해야 할 것이고
아예 옷 때문에 위험할 일이 없게
편안하고 평범한 긴 옷을 착용하고 오면 좋을 것 같습니다.
특히나 미끄럼틀 이용할 때 쓸림 부상이 있기 때문에
긴 옷이 필요할 듯싶습니다.
개인 입장은 현장접수, 단체 입장은 유선 접수를 합니다.
1~3회차까지 있으며 10시부터 16시까지
각 회차별 2시간 이용 가능합니다.
이용대상은 36개월 이상부터 초등학교 3학년 이하이고
키 130cm 이하, 몸무게 30kg 이하입니다.
입장료 무료입니다.
키즈 놀이터 옆에는 차분하게 앉아서 책 읽을 수 있는
알록달록한 넓은 공간도 마련되어 있습니다.
뛰어노는 걸 싫어하는 아이들은
이곳을 이용해도 좋을 것 같습니다.
2층 전시관
2층은 문경의 생태자원 및 자연사를 학습 및 관람할 수 있도록
다양한 내용의 전시공간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박물관이 전부 무료 관람이기 때문에
2층 전시관도 가볍게 둘러보고 가기로 했습니다.
전시관 첫 번째 코너에서는 생명의 기원으로부터 시작해서
생물의 흔적, 광물과 암석 등에 대해 알아보게 됩니다.
다양한 표본들도 함께 전시되어 있어
흥미롭게 관람하며 살펴볼 수 있었는데요.
특히 고생대, 백악기, 신생대에 살았던
생명체들의 모습이 무척 신기했어요.
고생대 대표 화석은 누구나 아는 삼엽충이 있으며
고생대를 삼엽충 시대라고 할 정도로
생태계에서 지배적인 위치에 있었습니다.
문경의 지질과 식물들에 대해서도 알아볼 수 있었는데,
그저 딱딱한 글만 있는 것이 아닌
직접 공간을 재현해 놓고 표본들도 전시해 놓아
지루하지 않게 관람할 수 있었습니다.
문경새재의 숲은 활엽수림과 침엽수림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헛개나무, 음나무, 마가목, 천마 등의 식용식물이 자랍니다.
문경에 서식하는 다양한 동물들도
박제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중 가장 눈에 들어온 동물은 단연 멧돼지와 독수리였는데,
실제로 크기가 정말 크더라고요.
독수리가 날개를 펼친 모습을 직접 마주하게 되면
매우 공포스러울 것 같았습니다.
마지막 코너에서는 곤충의 종류, 정의, 특징 등을 살펴보며
다채롭고 아름다운 나비의 표본들이 전시된 모습을 감상하며
나비에 대해 자세히 알아갈 수 있었습니다.
파란색 제비나비를 문경의 로고로 표현한 모습이 아주 작품이었네요!
아이와 함께, 가족끼리 문경새재 여행을 많이 오는데
시간 여유가 되신다면 문경새재 근처에 있는
문경자연생태박물관도 함께 방문해 보고 가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입장료, 주차비 전부 무료이며
아이들도 재미있고 어른들도 유익한 시간을 선사해 주는 곳입니다.
※ 위 글은 문경시 SNS서포터즈 기자단의 기사로 문경시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문경아이와갈만한곳
- #문경아이와가볼만한곳
- #자연생태박물관
- #문경자연생태박물관
- #문경박물관
- #문경자연
- #자연생태박물관벅스어드벤처
- #벅스어드벤처
- #문경전시
- #경북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