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청에서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함에 따라

부산시는 모기 예방수칙 준수를 당부했습니다.

3.27 질병청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올해 3월 27일 질병관리청은 전국에 일본뇌염 주의보를 발령했습니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전라남도에서 처음으로 작은빨간집모기가 확인되었기 때문인데요.

일본뇌염 주의보는 그해에 최초로 일본뇌염 매개모기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가 채집되면 발령됩니다.

작은빨간집모기

논이나 웅덩이 등에 서식하며, 주로 야간에 흡혈 활동을 하고 3월 말부터 발생하기 시작해 8~9월에 정점을 보임.

부산시, 모기 예방수칙 준수 당부

일본뇌염에 특화된 치료제가 아직 없는 만큼, 모기 예방수칙을 꼭 준수해야 합니다.

모기 물림 예방수칙

📌 모기가 활동하는 4~10월까지 야간(일몰 직후 ~ 일출 직전)에 야외 활동 자제

📌 야간 외출 시 밝은색 긴 옷, 품이 넓은 옷 착용

📌 노출된 피부나 옷, 신발 상단, 양말 등에 모기 기피제 사용

📌 모기를 유인할 수 있는 진한 향수나 화장품 사용 자제

📌 실내 모기 침입 예방을 위한 방충망 정비와 모기장 사용 권고

📌 집 주변 물웅덩이, 막힌 배수로 등 고인물 제거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사람에게는 대부분 발열이나 두통과 같은 가벼운 증상이 나타납니다.

다만,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 발작, 착란, 경련, 마비 등의 증상이 발생하여 이 중 20~30%는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뇌염에서 회복되더라도 환자의 30~50%는 손상된 부위에 따라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을 가능성이 있어 필히 주의하시는 게 좋겠습니다.

생후 12개월에서 12세 이하 어린이

일본뇌염 예방접종 무료

일본뇌염 예방접종력이 없는 성인 중 위험지역(논, 돼지농장 인근)에 거주하거나 여행 등으로 일본뇌염 유행 국가를 방문하는 사람은 예방접종(유료)이 권장됩니다.

특히, 생후 12개월에서 12세 이하 어린이는 일본뇌염 예방접종을 무료로 하고 있으니, 질병관리청 홈페이지에서 지정 위탁의료기관 확인 후 방문해 주세요!

👇 지정 위탁의료기관 확인하기 👇

일본뇌염 개요

정의

  • 일본뇌염 바이러스(Japanese encephalitis virus) 감염에 의한 질환

매개체

  • 주로 야간에 동물과 사람을 흡혈하는 Culex 속의 모기에 의해 전파됨

※ 작은빨간집모기(Culex tritaeniorhynchus)

※ 주로 돼지가 증폭숙주(amplifying host)로서의 역할

전파경로

  • 매개 모기에 물려 감염

※사람이 감염된 초기에는 모기를 감염시킬 만큼 충분한 바이러스혈증이 발생하지 않음

잠복기

  • 5∼15일

증상

  • 대부분 무증상이거나,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임상 증상이 나타남

  • 드물게 뇌염으로 진행되면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떨림, 경련, 마비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20∼30%의 사망률을 보임

  • 합병증: 뇌염의 경우 회복되어도 환자의 30∼50%는 다양한 신경계 합병증을 겪음

예방접종

📌 소아

  • 불활성화 백신 : 총 5회 접종

※ 1~2차(생후 12~23개월, 1개월 간격)

※ 3차(24~35개월, 2차 접종 11개월 후), 4차(만 6세), 5차(만 12세)

  • 약독화 생백신 : 총 2회 접종

※ 1~2차(생후 12~35개월, 12개월 간격)

📌 성인 : 면역이 없는 18세 이상 성인

  • 위험지역(논,돼지 축사 인근) 거주하거나 전파 시기에 위험지역에서 활동 예정인 경우

  • 비유행 지역에서 이주하여 국내에 장기 거주할 외국인, 일본뇌염 유행 국가 여행자

  •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노출될 수 있는 실험실 근무자

일본뇌염 Q&A

🔎Q1. 일본뇌염은 어떤 질병이며, 어느 지역에서 발생합니까?

본뇌염은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물려 전파되는 질환입니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및 서태평양 국가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Q2. 일본뇌염에 감염된 모기에 물린 후 얼마 후에 증상이 나타나나요?

일본뇌염에 감염된 모기에 물린 후 5~15일 이후에 증상이 나타나며, 대부분 증상이 없거나 발열 및 두통 등 가벼운 증상이 나타납니다.

🔎Q3. 일본뇌염의 증상은 무엇인가요?

초기 증상은 무기력증과 발열이며 종종 두통, 복통, 메스꺼움, 구토 등을 할 수 있으며, 뇌 징후, 뇌신경 마비, 인지 및 언어장애가 나타날 수 있고 심한 경우에는 파킨슨 증상과 발작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일부에서 고열, 발작, 목 경직, 착란, 떨림, 경련, 마비 등 심각한 증상이 나타나며, 이 중 20~30%는 사망할 수 있습니다.

🔎Q4. 일본뇌염은 어떻게 진단하나요?

혈액 또는 뇌척수액 검체 검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Q5. 일본뇌염의 치료법은 무엇인가요?

일본뇌염에 대한 특이적인 치료법이 없어 증상에 따른 대증치료를 합니다.

예방접종 및

모기 물림 예방수칙을 준수하여

건강한 여름 보내시길 바랍니다!


{"title":"전국 일본뇌염 주의보 발령... 부산시, 모기 예방수칙 준수 등 당부","source":"https://blog.naver.com/cooolbusan/223817545119","blogName":"부산광역시..","domainIdOrBlogId":"cooolbusan","nicknameOrBlogId":"부산광역시","logNo":223817545119,"smartEditorVersion":4,"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