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측지학 및 지구물리학 연맹 산하 공동 학술대회

7월 20일부터 25일까지 벡스코에서 한국 최초로 개최됩니다.

세계 최고 수준의 학술 플랫폼, 한국 유치 처음

「국제 측지학 및 지구물리학 연맹(IUGG)」산하 공동학술대회

기간 : 2025. 7. 20. ~ 25.

장소 : 벡스코

전 세계 기상·해양·빙권 분야 석학들이 참여하는 '2025 IUGG 기상·해양·빙권 국제학술대회(BACO-25)', ' 기상·해양·빙권 국제학술대회'(BACO-25) ‘서로 연결된 지구(Our Interconnected Earth)’라는 주제로, 기후위기와 환경문제의 과학적 해법을 모색하고, 해양·대기·극지 과학의 최첨단 연구성과를 공유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학술 플랫폼입니다.

국제 측지학 및 지구물리학 연맹(IUGG)이 주최하고, 산하 국제 기상학 및 대기과학협회(IAMAS), 국제 극지학협회(IACS), 국제 해양물리학 협회(IAPSO)가 공동 주관하여 진행되는데요.

45개국 1천500여 명의 국내외 기후과학 연구자와 산업계 관계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기후위기와 환경문제의 과학적 해법을 모색하고, 해양·대기·극지 과학의 최첨단 연구성과를 공유할 예정입니다.

대회 진행 순서

이번 대회는 2017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에서 열린 MOCA 2017 총회에서 경쟁 도시인 영국 맨체스터를 제치고 유치에 성공한 국제행사인데요.

'국제 측지학 및 지구물리학 연맹(IUGG)' 산하 공동학술대회가 한국에서 개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대회는 기조강연, 학술 세션(총 68개), 기상·해양·빙권 산업전시회, 비즈니스 미팅, 현장 견학(필드트립) 등 다양한 공식 프로그램과 부대행사로 구성됩니다.

공식 행사 중 기조강연에서는 이회성 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의장, 통주(Tong Zhu) 베이징대학교 교수, 아야코 아베 오우치(Ayako Abe-Ouchi) 도쿄대학교, 록시 매튜 콜(Roxy Mathew Koll) 인도 열대기상연구소 박사 등 세계 석학들이 순차적으로 나설 예정입니다.

시민 참여 프로그램

어제(20일) 영화의전당에서 ‘지구환경영화제’가 개최되었는데요.

극한 기상이변과 기후위기의 현실을 다룬 다큐멘터리 <히어 나우 프로젝트> 상영 이후, 방송인 줄리안 퀸타르트가 출연한 토크쇼를 통해 시민들과 기후 행동의 필요성에 대해 소통하였습니다.

오는 7월 24일에는 청소년과 교사를 위한 과학 교육 프로그램인 '어스 사이언스 데이(Earth Science Day)'가 벡스코에서 열립니다.

‘오~징한 게임: 지구 필살기’를 주제로 서울대, 국립부경대, 극지연구소 등 저명한 과학자들이 참여해 강연과 상담을 통해 참가 학생들과 진로·학문에 대해 심도 있는 대화를 나눌 예정입니다.

개막식 진행

2025. 7. 21. 오후 5시

오늘(21일) 오후 5시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개막식을 진행합니다.

박형준 시장을 비롯해 '기상·해양·빙권 국제학술대회' 조직위원장, '국제 측지학 및 지구물리학 연맹' 및 산하 학회 대표, 국내외 과학기술계 주요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기조강연, 개막공연, 개회사, 박형준 시장 축사, 환영리셉션 등이 진행됩니다.

이날 개막 기조강연은 기후변화 대응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이회성 전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의장이 맡아, ‘모두를 위한 기후행동’을 주제로 기후위기의 심각성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국제 사회의 공동 대응 방향을 제시합니다.

전체 프로그램

구분

세션

2025. 7. 21.

분과/Joint 세션 전시

2025. 7. 22.

분과/Joint 세션 전시/포스터

2025. 7. 23.

분과/Joint 세션 전시/포스터

2025. 7. 24.

분과/Joint 세션 전시/포스터

2025. 7. 25.

분과/Joint 세션

구분

공식 행사

부대 행사

2025. 7. 20.

-

비즈니스 미팅,

지구환경영화제

2025. 7. 21.

개막실(기조강연)

환영리셉션

-

2025. 7. 22.

기조강연

초청 강연

필드트립(부산)

2025. 7. 23.

기조강연

초청 강연

필드트립(경주)

2025. 7. 24.

기조강연

초청 강연

고교생 대상 강연

2025. 7. 25.

폐막식

-

※ 7.21.~7.24. 전시 홍보관 운영

기조 강연 내용

<개막식>

Climate Action for All 모두를 위한 기후 행동

강연자 : 이회성

  • 뉴저지 대학원 경제학 박사

  • 현 무탄소연합(CF) 회장

  • 제6대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의장

  • 고려대학교 그린스쿨대학원 교수(에너지환경정책)

  • 2024 올해의 에너지 경제학자상 수상

<IAMAS 국제기상학·대기과학협회>

The Health Impacts of Air Pollution and Climate Change

대기오염과 기후변화가 인간 건강에 미치는 영향

강연자 : 통 주 (Tong Zhu)

  • 베이징대학교 환경과학공학대학 환경보건학과 석좌 교수

  • 중국 국무원 참사관

  • 미국지구물리학회 펠로우

  • Future Earth-MAIRS 과학운영위원회 위원장

<IACS 국제극지학협회>

Dynamics of Ice Sheet and Sea Ice under Changing Climate in the Geological Past and Future

기후 변화에 따른 빙상 및 해빙의 변화 양상: 지질학적 과거부터 미래까지

강연자 : 아야코

아베-오우치

(Ayako Abe-Ouchi)

  • 도쿄대학교 대기해양연구소 교수

  • 고기후-미래 기후 시뮬레이션 및 극지방 해빙,빙상 시스템 분야 연구 권위자

  • 2021년 밀루틴 밀랑코비치 메달 (Milutin Milanković Medal) 수상

  • IPCC 제5차 평가 보고서 기여

<IAPSO 국제해양물리학협회>

Tropical Climate Shifts: the Indo-Pacific Warm Pool, the MJO, and Monsoon in a Warming World

열대 기후의 변화 : 인도-태평양 온수역, 마덴-줄리안 진동(MJO), 그리고 온난화 시대의 몬순

강연자 :

록시 매튜 콜

(Roxy Mathew Koll)

  • 인도 열대기상연구소 기후과학자

  • IPCC 보고서 주요 저자

  • 2024 인도국가 과학상

  • 스탠퍼드 선정 세계 상위 2% 과학자 선정

  • 2022 데벤드라 랄 메달 (Devendra Lal Medal) 수상

주요 학술세션

분야

세션별

주요 내용

기상

재해

해양 및 기후 통합 예보

(JPM03)

기상과 기후의 경계 없는(Seamless) 예보를 위한 과학과 기술

(주요주제) 난류 관측을 통한 모수화, 공기-해양 상호작용 모수화, 기후에 이르는

모델 개발, 관련 기술

- 난류 및 공기-해양 상호작용 관측,

- 저비용 관측기술 등 예보지원기술 혁신 등

AI 예측

대기·해양·지구시스템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예보, 시뮬레이션 및 과학 분석

(JMP02)

머신러닝(ML)을 활용한 대기·지구 시스템 예측 연구

- 통합 모델 ~ 특정 현상 예측 맞춤형 모델까지 다양한 접근

- 설명 가능한 AI(XAI)와의 결합을 통한 물리적 메커니즘 이해 등

대기·지구시스템의 미래상태예측에 초점을 둔 연구

태평양

태평양 해양-대기 시스템의 변동성과 변화

(JMP05)

태평양 해양-대기 시스템의 변동성과 변화에 대한 최신 연구 공유

열대 및 중위도 변동성, 대양 간 연계, 해양 소규모 과정의 상위 스케일 영향,

해양 열 흡수 및 해수면 상승 등

- 관측 기반 분석부터 수치 모델링,

- 전 지구적 규모부터 지역 연구결과 발표 등

극지 기후

변화

극지 기후 변화: 주요 전환 과정의 관측,

모델링 및 예측

(JMC14)

북극과 남극의 기후변화와 전망

- 극지방 기후변화 결과 공유(해빙과 눈 감소, 영구동토 융해, 빙상 질량 손실 등)

- 변화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하기 위한 관측, 모델 평가, 모의 개선

관측 기반 변화 분석, 해빙 및 극지 기후 예측, 열대-극지 상호작용, 극한 기후 현상, 지구적 영향 등 연구 발표

영구

동토층

기후 변화에 따른 영구동토층 변화

(JCM03)

기후 변화에 따른 영구동토 지역의 환경 변화

- 영구동토층의 붕괴, 탄소 순환 변화, 온실가스 배출 증가, 식생 변화 등 관련 연구

관측부터 모델링까지, 기후 변화와 지표 동결 환경 간 상호작용 등 연구 발표

주요 부대행사

지구환경영화제, 토크쇼

2025. 7. 20. 15:30 ~ 17:15 / 영화의 전당 소극장 (종료)

✅ 1부) 영화 상영 'Here Now Project'

  • 2024 제3회 하나뿐인 지구영상제 개막작

  • 그레그 제이컵스, 존 시스켈 감독

  • 미국/ 2024년작 / 75분 / 다큐멘터리 / 전체관람가

  • 전 세계 각지에서 일상에서 맞닥뜨린 기후재난 상황을 스마트폰에 담아 제보한 일반인들의 영상을 묶은 다큐멘터리

✅ 2부) 토크쇼 '줄리안 퀸타르트, 방송인'

상영작을 통한 기후 위기 및 지구환경보호 논의하는 토크쇼

  • 주요 이력

- 서울환경영화제 FGRS 홍보대사

- 지구의 날 유럽연합 기후행동 친선대사

- 벨기에 Liège주 명예대사

- 2015년 비정상회담 출연 등 다수 방송 출연

미래세대 초청강연(오~징한 게임 : 지구필살기)

2025. 7. 24. 13:30 ~ 15:30 / 컨벤션홀 205호

✅ 서울대학교 안진호 교수 (지구화학/ 빙하학)

  • 현.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 미국 샌디에이고대 이학박사, 서울대 (대학원) 지질학과 졸업

✅ 인류세, 인간과 자연의 생존 해법 / 서울대학교 남성현 교수 (물리해양학/ 해양환경관측연구실)

  • 현.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

  • 서울대 해양학 박사, 서울대 해양학 석사,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학사

✅ 인류의 미래를 바꾸는 세 가지 질문 / 부경대학교 김백민 교수 (환경대기과학)

  • 현.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전공 부교수

  • 현.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문위원(‘25.2.~)

  • 서울대 지구환경과학 박사, 서울대 (대학원) 대기과학과, 지구환경과학부 졸업

✅ 세상의 끝에서 바라본 미래 / 극지연구소 이원상 책임연구원 (빙권지진학, 수중음향학, 빙하동역학)

  • 현, 극지연구소 빙하환경연구본부 본부장

  • 남극 14회 탐사 / 빙하, 극지 관련 다수 강연

이번 행사를 통해

국제 사회의 협력을 끌어내는

뜻깊은 계기가 되기를 바랍니다.


{"title":"'2025 IUGG BACO-25' 벡스코에서 개최, 세계 기상·해양·빙권 과학자 부산으로!","source":"https://blog.naver.com/cooolbusan/223941512933","blogName":"부산광역시..","domainIdOrBlogId":"cooolbusan","nicknameOrBlogId":"부산광역시","logNo":223941512933,"smartEditorVersion":4,"cafeDisplay":true,"blogDisplay":true,"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