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시간 전
“경남형 인구정책 브랜드 만든다”... 경상남도, 인구정책 전담팀 본격 가동
– 전문가 중심의 전담팀(TF) 출범... 19일 도청서 1차 회의 개최
– 저출생 극복·생활인구 확대 두 축으로 분야별 보완과제 도출 예정
경상남도는 급변하는 인구구조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경남도만의 실효성 있는 인구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경남형 인구정책 전담팀(TF)’을 구성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습니다.
이번 전담팀은 경남의 인구문제를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하고자 도·내외 인구·복지·도시 등 관련 분야의 전문가를 중심으로 구성됐으며, 인구정책의 보완 분야를 도출하고, 경남만의 지역적 특성과 여건에 맞춘 우선 과제를 발굴하게 됩니다. 이후 도출된 과제의 소관부서와 연계를 통해 현실성 있는 정책화로 이어지도록 설계할 예정입니다.
경남도는 전담팀(TF)을 통해 ‘경남형 인구정책 브랜드’를 개발하고, 이를 내년부터 본격 추진할 수 있도록 예산과 정책에 반영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차 회의는 도 인구부서와 전문가 등 15명이 참석한 가운데, 19일 도청 중앙회의실에서 김기영 경상남도 기획조정실장을 주재로 열렸습니다.
이날 회의는 경남의 기존 인구정책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과 함께, 현재 경남도가 직면한 인구문제의 특징을 중심으로 정책 여건을 논의했습니다. 먼저, 인구미래담당관실에서 그간의 경남도 인구정책에 대한 분석 발표하고, 이어 경상남도여성가족재단에서 ‘저출생 극복 분야’, 경남연구원에서 ‘생활인구 확대 분야’에 대한 정책환경 분석 발표를 진행했습니다.
저출생 극복 분야: 청년유출․결혼기피 원인 분석
저출생 문제와 관련해서는 생애주기별 접근을 통해 청년층, 특히 여성 인구의 유출 심화와 결혼에 대한 낮은 인식이 혼인율 저하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 강조됐습니다. 주요 과제로는 △결혼 비용 부담 및 출산·양육 준비 지원, △늦은 결혼에 따른 출산지원 필요성, △일-생활 균형 문제, △사회 인식 전환의 필요성 등이 제시됐습니다.
생활인구 확대 분야: 일하고, 머물고, 즐길 수 있는 경남 만들기
생활인구 확대 분야에서는 최근 발표된 자료를 기초로 경남에서 일하고, 머물고, 즐길 수 있는 지역으로 만들기 위한 전략이 논의됐습니다. 구체적으로는 △관광·체험 기반 확충 및 홍보 강화, △귀농·귀어·귀촌 청년, △1인가구 대상 맞춤형 정착, △외국인 근로자의 지역사회 정착 지원 및 적응력 강화 등이 검토됐다. 특히, 경남의 자연환경과 연계한 인구 유입 방안도 함께 논의됐습니다.
이번 1차 회의 이후에는 분야별로 분과를 구성해 심층 논의에 들어갈 예정입니다. 각 분과에서는 도출된 문제를 바탕으로 보완 분야의 우선순위를 설정한 뒤, 이를 토대로 경남만의 실효성 있는 맞춤형 정책을 개발할 예정입니다.
“전국적으로 인구감소 문제가 심화되는 상황에서
경남이 주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만들기 위한 첫걸음입니다
속도감 있게 전담팀을 운영하고,
실질적인 정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자세한 기사를 보고 싶다면

“ 경남형 인구정책 브랜드 만든다 ” 경남도 , 인구정책 전담팀 본격 가동 – 전문가 중심의 전담팀 (TF) 출범 ... 19 일 도청서 1 차 회의 개최 – 저출생 극복 · 생활인구 확대 두 축으로 분야별 보완과제 도출 예정 경상남도 ( 도지사 박완수 ) 는 급변하는 인구구조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 경남도만의 실효성 있는 인구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 경남형 인구정책 전담팀 (TF)’ 을 구성하고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 이번 전담팀은 경남의 인구문제를 보다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하고자 도 · 내외 인구 ...
www.gyeongnam.go.kr
- #경상남도
- #경남
- #인구정책
- #저출생
- #생활인구
- #인구문제
- #인구
- #출산
- #양육
- #귀어
- #귀농
- #귀촌
- #1인가구
- #외국인근로자
- #인구유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