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일 전
여성농민지도력개발교육 ☀️ 우리 밥상, GMO(유전자 변형생물)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나요? - 조연우 기자
안녕하세요! 거창여성농업인센터 주관으로 거창군생활개선회, 한국여성농업인거창군연합회, 거창군여성농민회, 거창공유농업사회적협동조합원 등 거창농업인들을 대상으로 'GMO와 먹거리 문제'라는 주제로 강의가 있어 그 현장을 다녀왔어요.
한국농수산식품의학법박사회 이사이시며 원광대학교법학전문대학원 교수이신 김은진 강사님께서 나눠주신 유인물을 바탕으로 우리 삶과 뗄 수 없는 먹거리의 안전성과 자주성에 대한 아주 중요한 이야기를 전해드릴게요.
여성농민지도력개발교육,
GMO와 먹거리 문제 (김은진)
GMO(유전자 변형생물)에 대한 이야기인데요. 유전자조작 생물이라고도 불리는 GMO가 우리의 밥상에 어떻게 다가와 있는지, 함께 자세히 알아보기로 해요!
🌱 GMO, 왜 알아야 할까요?
혹시 2013년에 미국에서 불법 GMO 옥수수가 재배된 사실이 알려지면서 GMO 표시에 대한 논의가 뜨거워졌던 것을 기억하시나요? 이후 우리나라도 정부 주도로 GMO 재배와 상용화 계획이 세워지고, 2015년에는 농촌진흥청에서 GM벼 상용화 계획까지 발표하기도 했어요. 지금도 GMO 관련 법 개정 논의가 계속되고 있어요.
이처럼 GMO는 먼 나라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 모두의 먹거리 안전과 식량 주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문제예요.
여성농민지도력개발교육, GMO와 먹거리 문제 (김은진)
🌍 세계와 우리나라의 GMO 현황은?
현재 GMO는 전 세계적으로 어떻게 재배되고, 우리나라는 어떻게 수입하고 있는지 김은진 교수님 자료 내용을 정리해 봤어요.
1. 세계 재배 현황 (2019년 기준)
전 세계 29개국에서 GMO 작물을 재배하고 있는데요. 주로 미국, 브라질, 아르헨티나, 캐나다, 인도 등에서 많이 키우고 있어요. 주로 재배되는 작물은 콩, 옥수수, 유채, 면화로 전 세계 총 재배 면적이 무려 1억 9천만 헥타르가 넘는다고 해요! 정말 어마어마한 규모죠?
2. 우리나라 수입 현황 (2025년 기준)
우리나라는 아직 GMO 작물을 직접 재배하지는 않지만, 식용이나 사료용으로 GMO를 많이 수입하고 있어요. 승인된 식용 GMO 작물로는 콩, 옥수수, 면화, 감자, 알팔파, 사탕무, 미생물 등이 있고요. 농업용으로는 벼, 잔디, 알팔파 등이 승인되었어요. 식품용, 농업용, 산업용을 모두 합치면 총 210건 이상의 GMO가 승인되어 있다고 해요.
3. 우리나라 개발 현황
국내에서도 GMO에 대한 연구개발과 시험재배가 꾸준히 진행되고 있어요. 2024년까지 총 4,607건의 연구개발이 승인되었을 정도로 활발하다고 해요.
여성농민지도력개발교육, GMO와 먹거리 문제 (김은진)
🧐 GMO의 종류,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GMO는 크게 1세대와 2세대로 나누어요.
1. 1세대 GMO – 제초제 내성 GMO & 살충성 GMO
* 제초제 내성 GMO: 제초제를 뿌려도 죽지 않고 살아남는 작물이에요. 대표적으로 GM콩, 옥수수, 면화 등이 있죠. 제초제에 강하기 때문에 제초제 사용량이 오히려 늘어나 환경 오염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기도 해요. GM콩은 주로 식용유나 가공식품의 원료로 사용된답니다.
* 살충성 GMO: 식물 자체에 해충을 죽이는 유전자를 넣어 만든 작물이에요. 주로 옥수수와 유채에서 볼 수 있는데요. 해충뿐 아니라 다른 유익한 생물들에게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논란이 있고, 아직 인체 및 환경 안전성에 대한 충분한 검증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많아요.
2. 2세대 GMO – 기능성 GMO
2세대 GMO는 영양소를 강화하거나 독소를 제거하는 등 특정 기능을 강화한 유전자 조작 작물이에요. 예를 들면 오메가-3가 많이 함유된 대두나 알레르기를 억제하는 쌀 같은 것들이 있답니다. 아직 상업화 초기 단계이지만, 이 역시 안전성과 윤리적인 문제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어요.
🤔 GMO, 무엇이 문제일까요?
GMO 재배와 수입이 확대되면서 여러 가지 중요한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어요.
* 소비자의 알 권리 부족: 어떤 식품에 GMO가 사용되었는지 정확히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소비자가 스스로 선택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어요.
* 식량 주권 침해: 특정 기업이 GMO 종자를 독점하면서 농민들의 씨앗 선택권을 제한하고, 나아가 국가의 식량 주권을 위협할 수도 있다는 지적이 있어요.
* 안전성 논란 및 환경 오염: 아직 장기적인 안전성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의견이 많고, 제초제 사용량 증가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 문제도 우려되고 있어요.
💡 결론적으로, 우리가 생각해야 할 것들!
GMO의 상업화가 확대됨에 따라 사회적, 환경적, 윤리적인 측면을 모두 고려하는 것이 중요해요. 앞으로의 GMO 정책은 과학적인 검증을 바탕으로, 소비자의 선택권을 보장하고, 농민의 자율성을 지켜주는 방향으로 균형 있게 나아가야 해요.
우리 모두의 건강한 밥상을 위해, GMO에 대한 관심과 이해가 꼭 필요하겠죠? 오늘 이야기가 GMO에 대한 이해에 어느 정도 도움이 되었길요.
김은진 교수님의 강의 후, 거창군생활개선회는 김은진 교수님과 간담회를, 거창공유농업사회적협동조합은 조합원들과의 간담회를 가졌어요.
거창공유농업사회적협동조합원들은 조합에 바라는 내용을 경품권에 적어내고, 경품 추첨으로 건강한 우리 먹거리를 하나씩을 들고 귀가했어요~^^
건강한 먹거리 생산으로 고민하는 농부가 있고, 우리의 식량주권까지 생각하며 소비하는 소비자가 있어 거창은 행복한 동네에요~!
#GMO와먹거리문제 #김은진 #거창여성농업인센터 #거창군생활개선회 #한국여성농업인거창군연합회 #거창군여성농민회 #거창공유농업사회적협동조합 #식량주권 #안전한먹거리 #거창군 #미래농업복합교육관
- #GMO와먹거리문제
- #김은진
- #거창여성농업인센터
- #거창군생활개선회
- #한국여성농업인거창군연합회
- #거창군여성농민회
- #거창공유농업사회적협동조합
- #식량주권
- #안전한먹거리
- #거창군
- #미래농업복합교육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