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의 목돈 마련 필수 통장인 청년도약계좌, 오산시민 여러분도 한 번쯤 들어보셨을 텐데요. 청년들의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도약계좌가 올해 더욱 강력해진 혜택으로 돌아왔다는 사실도 아시나요? 지난해부터 예고돼 있던 정부 기여금 확대는 물론, 부분 인출도 가능해질 전망인데요. 오산시 청년들을 위해 4월 청년도약계좌 신청 일정2025년 달라지는 청년도약계좌에 대해 알려드립니다!


4월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청년도약계좌는 매월 초 은행 앱(국민, 신한, 하나, 우리, 농협, 기업, 부산, 아이엠뱅크, 광주, 전북, 경남은행)으로 신청을 받고 가입요건 확인 절차를 거쳐 계좌를 개설할 수 있습니다.

4월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 기간은 4월 1일 ~ 4월 11일까지인데요. 가입요건 확인 완료 후 1인 가구는 4월 17일 ~ 5월 9일까지, 2인 이상 가구는 4월 28일 ~ 5월 9일까지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

전월(3월)에 가입을 신청하신 분 가운데 가입대상으로 안내를 받은 1인 가구는 3월 20일 ~ 4월 11일까지, 2인 이상 가구는 3월 31일 ~ 4월 11일까지 계좌 개설을 완료해 주셔야 합니다.

구분

청년 도약 계좌 가입 신청 기간

계좌 개설 기간

3월

(공통) 3월 4일 ~ 3월 14일

* 1인 가구 : 3월 20일 ~ 4월 11일

* 2인 이상 가구 : 3월 31일 ~ 4월 11일

4월

(공통) 4월 1일 ~ 4월 11일

* 1인 가구 : 4월 17일 ~ 5월 9일

* 2인 이상 가구 : 4월 28일 ~ 5월 9일

첨부파일
2025년 4월 청년도약계좌 가입신청 및 계좌개설 일정 안(대외용)_00.pdf
파일 다운로드


2025년 청년도약계좌 달라지는 점 1.

정부 기여금 확대 → 월 최대 33,000원

올해부터 청년도약계좌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도 알아볼까요? 먼저 많은 청년들이 기대했을 그 소식! 바로 청년도약계좌 정부 기여금 확대 소식입니다.

기존의 청년도약계좌는 가입자의 개인소득 수준에 따라 매칭 한도를 월 40만·50만·60만 원으로 정하고, 월 최대 21000원 ~ 24000원의 기여금을 지원해 왔는데요. 올해 1월부터 모든 가입자가 실제로 납입한 만큼 기여금을 매칭 받을 수 있도록 변경되었습니다.

개인소득(연 소득, 총 급여)

월 최대 기여금(개정 전)

월 최대 기여금(개정 후)

2400만 원 이하

24,000원

33,000원 (+9,000원)

2400만 원 초과 ~ 3600만 원 이하

23,000원

29,000원 (+6,000원)

3600만 원 초과 ~ 4800만 원 이하

22,000원

25,000원 (+3,000원)

4800만 원 초과 ~ 6000만 원 이하

21,000원

21,000원 (동일)

이에 따라 올해부터는 소득이 2400만 원 이하인 청년이 도약계좌에 월 70만 원을 납입하면 최대 월 33,000원의 기여금을 받을 수 있게 됩니다. 이 경우 가입자가 만기 시 수령하는 금액은 최대 60만 원이 증가해 일반 적금 상품 기준으로는 연 최대 9.54%의 금리를 적용받는 것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단, 소득에 따라 최대로 받을 수 있는 기여금이 달라지는 만큼 위의 표에서 자신의 소득구간과 최대 기여금을 확인해 보세요!


2025년 청년도약계좌 달라지는 점 2.

3년 이상 유지 시 비과세&기여금 혜택 부여

또한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에 따라 3년 이상 가입을 유지하면 부득이하게 중도해지하더라도 비과세 혜택과 기여금 일부(60%)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는 것도 중요한 변화입니다. 이에 따라 기여금 일부 지원에 따라 3년 이상 가입 후 해지하는 경우에도 연 최대 7.64%의 고금리 일반 적금에 가입한 것과 같은 혜택을 누릴 수 있게 됐습니다.

뿐만 아니라 혼인이나 출산으로 인해 중도해지하는 경우에는 정부 기여금과 비과세 혜택을 모두 유지할 수 있도록 제도가 변경되었습니다!


2025년 청년도약계좌 달라지는 점 3.

성실 납입 시 신용평가 가점 부여

청년 도약계좌에 가입하면 좋은 점 또 하나! 바로 신용점수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2년 이상 도약계좌 가입을 유지하고 800만 원 이상 납입한 청년들에게 최소 5점 ~ 10점의 신용평가점수 가점을 부여하기 때문입니다.

가입 유지 기간에 따른 별도 개인신용평가점수 가점이 없던 기존과 달리 올해부터는 청년도약계좌 가입 시 납입 정보를 자동으로 연결해 개인신용평가점수(KCB 또는 NICE)에 가산점을 부여할 전망입니다. 청년도약계좌를 성실하게 납입하는 것만으로도 자동으로 신용평가 점수가 올라가는 효과를 볼 수 있게 됐답니다!


2025년 청년도약계좌 달라지는 점 4.

2년 이상 유지 시 부분 인출 가능

마지막으로 2년 이상 청년도약계좌 가입을 유지하는 경우 납입원금의 40% 이내에서 부분 인출을 할 수 있는 부분인출 서비스도 시행을 앞두고 있는데요. 기존에는 급하게 목돈이 필요한 경우 도약계좌를 해지해야 했다면, 이제는 부분 인출로 필요한 자금을 일부 인출하고, 남은 돈으로 계좌를 만기까지 꾸준히 유지할 수 있게 됩니다. 부분인 출 서비스는 올해 하반기 중에 시행할 예정이라고 하니 참고하세요!


서민금융진흥원에 따르면 3월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 결과 무려 15만 명이 가입을 신청한 가운데 8만 8000명이 실제 계좌를 만들었다고 하는데요. 이 같은 인기는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지속되면서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 혜택을 제공하는 청년도약계좌의 매력이 더욱 커지고 있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이자, 정부 기여금, 비과세 등 모든 혜택을 감안하면 연 최대 9.54%의 금리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압도적 청년 적금! 청년도약계좌를 신청할 오산시 청년 여러분이라면 4월 가입 신청 기간을 꼭 확인해 주세요~!

{"title":"4월 청년도약계좌 신청 기간 | 기여금 확대, 부분인 출 서비스 변경안 ✔","source":"https://blog.naver.com/osan_si/223816106832","blogName":"오산시 블..","domainIdOrBlogId":"osan_si","nicknameOrBlogId":"오산시","logNo":223816106832,"smartEditorVersion":4,"blogDisplay":true,"meDisplay":true,"lineDisplay":true,"outsideDisplay":true,"cafeDisplay":true}